Notice
														
												
											
												
												
													Recent Posts
													
											
												
												
													Recent Comments
													
											
												
												
													Link
													
											
									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 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2 | 3 | 4 | |||
| 5 | 6 | 7 | 8 | 9 | 10 | 11 | 
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
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
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 
													Tags
													
											
												
												- sql따라하기
- 수업기록
- 주피터노트북데이터분석
- 파이썬수업
- python데이터분석
- 파이썬데이터분석주피터노트북
- 파이썬시각화
- python알고리즘
- Python
- python수업
- 판다스데이터분석
- 파이썬차트
- 팀플기록
- 파이썬알고리즘
- 주피터노트북맷플롯립
- sql연습
- matplotlib
- 맷플롯립
- 주피터노트북판다스
- sql연습하기
- 주피터노트북그래프
- SQL
- SQLSCOTT
- 파이썬데이터분석
- 주피터노트북
- SQL수업
- 데이터분석시각화
- 파이썬크롤링
- 판다스그래프
- 파이썬
													Archives
													
											
												
												- Today
- Total
IT_developers
Python 개념 및 실습 - list(3) 본문
주차장 프로그램


parking_lot = []
top, car_name = 0, "A"
# ord("A") => 65 : 아스키 코드값 돌려주는 함수
# chr(65) => A
print(ord(car_name))
print(ord(car_name) + 1)
print(chr(ord(car_name) + 1))

while True:
    no = int(input("[1] 자동차 넣기 | [2] 자동차 빼기 | [3] 종료 : "))
    if no <= 3:
        if no == 1:
            if top >= 5:
                print("주차장 꽉 찼음")
            else:
                parking_lot.appen(car_name)
                print("%c 자동차 들어감. 주차장 상태 ==> %s" % (car_name, parking_lot))
                top += 1
                car_name = chr(ord(car_name) + 1)
        elif no == 2:
            if top > 0:
                out_car = parking_lot.pop()
                print("%c 자동차 나감. 주차장 상태 ==> %s" % (out_car, parking_lot))
                top -= 1
                car_name = chr(ord(car_name) - 1)
            else:
                print("빠져나갈 자동차가 없음")
        else:
            print("프로그램 종료")
            break
    else:
        print("번호를 확인해 주세요")

List Comprehension :한줄에 작성
# 리스트 생성 1 ~ 100
numbers = []
for n in range(1, 101):
    numbers.append(n)
print(numbers)
numbers = list(range(1, 101))
print(numbers)
numbers2 = [n for n in range(1, 101)]
print(numbers2)

list1 = ["갑", "을", "병", "정"]
# 정 글자를 제외하고 출력. 지우라는건 아님
for x in list1:
    if x != "정":
        print(x, end=" ")
print()
print([x for x in list1 if x != "정"])

# 1 ~ 100 숫자 중에서 홀수만 출력
list1 = [n for n in range(1, 101) if n % 2 == 1]
print(list1)

# 5글자 이상의 단어만 출력
list2 = ["nice", "study", "python", "anaconda", "abe"]
print([word for word in list2 if len(word) >= 5])

# 소문자만 출력
list3 = ["A", "b", "C", "D", "e", "z"]
for x in list3:
    if x.islower():
        print(x)
print([x for x in list3 if x.islower()])

# 아래 리스트를 각 요소에 *2 한 후 출력
list4 = [1, 2, 3, 4]
print([x * 2 for x in list4])
print([x * 2 for x in range(5)])
print([x * x for x in range(5)])  # 지수의 개념
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Python 개념 및 실습 - dictionary (0) | 2022.09.07 | 
|---|---|
| Python 개념 및 실습 - tuple (0) | 2022.09.06 | 
| Python 개념 및 실습 - list(2) (0) | 2022.09.05 | 
| Python 개념 및 실습 - list(1) (0) | 2022.09.05 | 
| Python 개념 및 실습 - for문 (0) | 2022.09.04 | 
			  Comments
			
		
	
               
           
					
					
					
					
					
					
				 
             
								 
								 
								