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sql연습하기
- SQL
- 파이썬
- matplotlib
- 데이터분석시각화
- SQL수업
- 수업기록
- 파이썬시각화
- sql따라하기
- 파이썬차트
- SQLSCOTT
- 주피터노트북판다스
- python수업
- 판다스그래프
- 파이썬데이터분석
- 파이썬크롤링
- 팀플기록
- 주피터노트북맷플롯립
- 주피터노트북
- 맷플롯립
- 판다스데이터분석
- python알고리즘
- Python
- 파이썬수업
- 파이썬데이터분석주피터노트북
- 주피터노트북그래프
- sql연습
- python데이터분석
- 주피터노트북데이터분석
- 파이썬알고리즘
Archives
- Today
- Total
IT_developers
Python algorithm 개념 및 실습 - 큐와 스택(회문찾기) 본문
알고리즘이란 ?
- 어떤 일을 하기 위한 명령의 집합
- 문제 해결 방법을 추상화하여 각 절차를 논리적으로 기술해 놓은 것
-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나 방법
알고리즘 복잡도
- Complexity
- 어떤 알고리즘이 문제를 풀기 위해 해야하는 계산이 얼마나 복잡한가?
- 알고리즘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기준
- 시간복잡도(time complexity) : 실행 횟수로 판단
- 공간복잡도(space complexity) : 기억공간과 파일 공간의 사용량
- 빅오 표기법 ( Big O Notation)
- 알고리즘이 얼마나 빠른지 표시하는 방법
- 입력 데이터 크기 증가할 때 알고리즘 연산 시간(횟수)의 증가 방식
- 연산의 횟수를 비교함
- O(n) : 계산 복잡도
- O : 빅 O
- n : 연산 횟수
- O(1) : 입력 크기 n과 계산 복잡도가 무관 할때 ex) n(n+1)/2
- O(logn) : 입력 크기 n의 로그 값에 비례하여 증가 ex) 이분탐색
- O(n) : 입력 크기 n에 비례하여 복잡도 증가 ex) 최댓값, 순차탐색
- O(nlogn) : 입력 크기 n과 로그 n 값의 곱에 비례하여 복잡도 증가 ex) 병합정렬, 퀵정렬
- O(n²) : 입력 크기 n의 제곱에 비례하여 복잡도 증가 ex) 선택정렬, 삽입정렬
- O(n₂) : 입력 크기가 n 일 때, 2의 n 제곱 값에 비례하여 복잡도 증가 ex)하노이의 탑
스택(후입선출구조 : LIFO, Last In First Out)
- 접시를 쌓듯이 자료를 차곡차곡 쌓아 올린 형태의 자료구조
- 스택에 저장된 원소는 top으로 정한 곳에서만 접근 가능
- 마지막에 삽입한 원소가 맨 위에 쌓여 있다가 가장 먼저 삭제
- 삽입 1 2 3 4 반출 4 3 2 1
큐 (선입선출구조 : FIFO, First In First Out)
- 삽입과 삭제의 위치가 제한된 유한 순서 리스트
- 뒤에서 삽입만 하고, 앞에서 삭제만 가능
- 삽입한 순서대로 나열되어 가장 먼저 삽입한 원소가 가장먼저 삭제
- 삽입 1 2 3 4 반출 1 2 3 4
회문찾기
회문 : 순서대로 읽어도, 거꾸로 읽어도 내용이 같은 낱말이나 문장
- ex : 역삼역, 기러기, 일요일, 사진사, 복불복
- ex : mom, wow, level, radar
# 주어진 문장이 회문인지 아닌지 찾기
# 회문이면 True, 아니면 False
def palindrome(s):
qu = [] # queue
st = [] # stack
# 받은 문자를 큐와 스택에 담기(알파벳인 경우만 소문자로 변경)
for x in s:
# 알아서 알파벳을 담아줌
if x.isalpha():
qu.append(x.lower())
st.append(x.lower())
# 큐와 스택에 들어있는 문자를 꺼내면서 비교
# 큐에 문자가 남아 있는 동안 반복
while qu:
# 큐와 스택에서 꺼낸 문자가 다르면 return false
# pop() : 뒤에서부터 인출
# pop(번호) : 해당번호 인출
if qu.pop(0) != st.pop():
return False
# 루프 종료 후 true 리턴
return True
# 큐와 스택 쓰지 않고 반복문 문장의 앞뒤를 차례로 비교
def palindrome2(s):
# 시작 위치 지정
start = 0
# 끝 위치 지정
end = len(s) - 1
while start < end:
# start 위치에 있는 문자가 알파벳 문자가 아니면 start + 1
# ! == not
if not s[start].isalpha():
start += 1
# end 위치에 있는 문자가 알파벳 문자가 아니라면 end -1
elif not s[end].isalpha():
end -= 1
# start와 end 위치에 있는 문자를 소문자로 변경한 후 비교
# 같지 않으면 False 리턴
elif s[start].lower() != s[end].lower():
return False
# 위 세가지 경우가 아니라면 start +1, end -1
else:
start += 1
end -= 1
# 반복문 종료 후 True 리턴
return True
if __name__ == "__main__":
print(palindrome("Wow"))
print(palindrome("Madam, I'm Adam."))
print(palindrome("Madam, I am Adam."))
print(palindrome2("Wow"))
print(palindrome2("Madam, I'm Adam."))
print(palindrome2("Madam, I am Adam."))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 algorithm 개념 및 실습 - 미로 찾기 (0) | 2022.09.20 |
---|---|
Python algorithm 개념 및 실습 - 그래프(친구찾기, 친밀도) (0) | 2022.09.19 |
Python algorithm 개념 및 실습 - 이진 탐색 (0) | 2022.09.19 |
Python algorithm 개념 및 실습 - 정렬(2) (0) | 2022.09.18 |
Python algorithm 개념 및 실습 - 정렬(1) (0) | 2022.09.18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