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파이썬데이터분석
- 파이썬데이터분석주피터노트북
- 파이썬
- Python
- SQL수업
- 주피터노트북그래프
- 파이썬시각화
- sql따라하기
- matplotlib
- python알고리즘
- SQLSCOTT
- 주피터노트북
- sql연습하기
- 파이썬크롤링
- 파이썬수업
- python데이터분석
- 수업기록
- sql연습
- 주피터노트북데이터분석
- 맷플롯립
- 데이터분석시각화
- 파이썬알고리즘
- 주피터노트북판다스
- SQL
- 판다스그래프
- 파이썬차트
- 판다스데이터분석
- 팀플기록
- python수업
- 주피터노트북맷플롯립
- Today
- Total
목록SQL (29)
IT_developers

hr 실습은 hr 생성 후 작성 가능. 문제를 다 푼 다음에 답 보기. hr의 데이터가 많기 때문에 각각의 칼럼명을 알고 있어야 문제를 풀 수 있다. 문제1) '2004'년도에 고용된 모든 사람들의 last_name, hire_date를 조회 입사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 문제2) last_name 에 u가 포함되는 사원들의 사번 및 last_name 조회 문제3) last_name 의 네번째 글자가 a인 사원들의 사번 및 last_name 조회 문제4) last_name에 a 혹은 e가 들어있는 사원들의 last_name 조회 후 last_name 오름차순 출력 문제5) last_name에 a 와 e가 들어있는 사원들의 last_name 조회 후 last_name 오름차순 출력 문제6) 매니저가 없는 ..

hr 실습은 hr 생성 후 작성 가능. 문제를 다 푼 다음에 답 보기. hr의 데이터가 많기 때문에 각각의 칼럼명을 알고 있어야 문제를 풀 수 있다. 문제1) employees 테이블 전체 내용 조회 문제2) employees 테이블의 first_name, last_name, job_id 조회 문제3) employees 테이블의 모든 열을 조회. 별칭 넣기 employee_id : empno , manager_id : mgr, department_id : deptno 조회 할 때 부서본호를 기준으로 내림차순으로 부서 번호가 같다면 사원 이름(First_name)을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 문제4) 사원번호가 176인 사원의 last_name과 deptno 조회 문제5) 연봉이 12,000 이상 되는 직원들..

https://it-developers.tistory.com/3 - scott 연결하기 새로 만들기 클릭 데이터베이스 파일 확인 - 경로 선택 후 파일명 : system.sql (system : 관리 권한자) system 관리자만 허용하는 작업이 필요 사용자를 생성하고 사용권한 부여는 system만 가능 원통 모양 클릭 후 연결

※ 기존 테이블을 이용하여 테이블을 생성 실습 1) emp테이블의 내용을 이용하여 exam_emp 생성(내용까지) CREATE TABLE exam_emp AS SELECT * FROM emp; 실습 2) dept 테이블의 내용을 이용하여 exam_dept 생성 CREATE TABLE exam_dept AS SELECT * FROM dept; 실습 3) salgrade 테이블의 내용을 이용하여 exam_salgrade 생성 CREATE TABLE exam_salgrade AS SELECT * FROM salgrade; 실습 4) 정보를 exam_emp 테이블에 입력 INSERT INTO exam_emp ( empno, ename, job, mgr, hiredate, sal, comm, deptno ) VA..

DML(데이터 조작어 : 삽입, 삭제, 수정) =>최종 반영을 할껀지 안할껀지 여부 ※ UPDATE : update 테이블 명 set 수정할 열 = 값 [where] ; where은 선택 1) loc를 seoul로 변경 UPDATE dept_temp SET loc = 'SEOUL'; where 사용 안함. ROLLBACK; 2) deptno=50인 경우 loc를 부산으로 변경 UPDATE dept_temp SET loc = 'BUSAN' WHERE deptno = 50; ROLLBACK; 3) EMP_TEMP 사원 중 SAL 3000이하인 사원만 COMM 300 으로 수정 UPDATE emp_temp SET comm = 300 WHERE sal

DML(데이터 조작어 : 삽입, 삭제, 수정) =>최종 반영을 할껀지 안할껀지 여부 1) DEPT 테이블의 데이터를 복사하여 dept_temp 테이블 생성. 실습용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dept_temp AS SELECT * FROM dept; Ctrl + C => Ctrl + V 느낌 dept 조회를 해서 dept_temp 테이블을 생성하겠다. ※ insert(삽입) : insert into 테이블 명(열이름...) values(데이터...); 2) dept_temp에 deptno, dname, loc 값 넣기 INSERT INTO dept_temp ( deptno, dname, loc ) VALUES ( 50, 'DATABASE', 'SEOUL' ); 문자, 날짜 데이터는 ' 홑따옴표 ..

서브 쿼리 : 쿼리문 안에 또 다른 쿼리문 존재 select 조회할 열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식(select 조회할 열 from 테이블 명 where 조건식) 실행결과가 하나로 나오는 단일행 서브쿼리 사용 연산자(>, 2975; ▶ 위 두개의 구문을 합한 것 SELECT * FROM emp WHERE sal > ( SELECT sal FROM emp WHERE ename = 'JONES' ); 여러개로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들을 하나로 만들어서 결과값을 출력 2) ALLEN 사원의 추가 수당보다 많은 추가수당을 받는 사원 정보 SELECT * FROM emp WHERE comm > ( SELECT comm FROM emp WHERE ename = 'ALLEN' ); 3) 'WARD' 보다 ..

JOIN : 데이터가 여러 개의 테이블에 나뉘어 저장됨 내부조인(INNER JOIN) 자체조인(SELF JOIN) 외부조인(OUTER JOIN) LEFT OUTER JOIN RIGHET OUTER JOIN FULL OUTER JOIN 상호조인(CROSS JOIN) UNION/ UNION ALL/ NOT IN/ IN 내부조인과 외부조인 정확하게 구분하기 (1) 내부조인 등가조인, 단순조인으로 부르기도함 가장 많이 사용 되는 조인 방식 LEFT TABLE과 RIGHT TABLE이 일치하는 컬럼을 기준으로 값 가져오기 (2) 자체조인 : 자기 자신과 자기 자신이 조인하는 방식 (3) 외부조인 LEFT OUTER JOIN과 RIGHT OUTER JOIN의 차이점 구별하기 LEFT OUTER JOIN : 일치하지..